2017. 08. 19 강원도 양구에서 촬영


학명 : Clossiana perryi (Butler, 1882)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Lepidoptera)

과 : 네발나비과(Nymphalidae) 

크기 : 수 · 암 32~45mm

식초 : 졸방제비꽃(제비꽃과)

월동 : 번데기

출현시기 :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연 3회 발생〉

서식장소 : 산기슭 또는 야산의 풀밭 (한반도에 폭넓게 분포하나, 남부 해안지방 및 도서지방에서는 관찰 기록이 없다.)

분포지역 : 한국·중국·사할린·아무르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의 폭이 넓고, 날개의 외연이 둥근 모양이다.


특징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크기가 크고 날개모양이 둥그스름하며 폭도 넓다. 또한 뒷날개 외연에 은무늬줄이 있고 중아 노랑띠 제1,4,7실 및 기부 1,7실에도 은무늬가 있다.

앞날개의 길이는 약 24mm이다. 뒷날개 뒷면의 중앙에 노란색의 띠가 있으며, 밑부 및 바깥가두리에는 은색의 무늬가 있다. 연 3 ~ 4회 발생하며 3 ~ 9월에 흔히 볼 수가 있다. 산기슭 또는 야산의 풀밭에 살며 천천히 낮게 날아다닌다. 한국 ·중국 ·사할린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변이
개체 간에는 날개 윗면의 검은색 점의 크기와 배열 차이로 변이가 나타난다. 암수 중에는 날개 윗면의 중앙부에서 기부까지 검은색 점이 밀집된 개체(89c, 89g)가 간혹 나타난다.


생태
암컷은 기주식물 주변의 마른 풀줄기 등에 한 개씩 산란한다. 월동 번데기는 나뭇가지나 인가의 담벽 등에서 불 수 있다.


습성
강이나 하천 변의 초지에 주로 서식한다. 봄에서 가을까지 발생지 주변의 여러 꽃에 모여 흡밀하고 초지 위를 천천히 낮게 날아다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