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06. 13
'부전나비과 [Lycaenidae] > 쌍꼬리부전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꼬리부전나비 (0) | 2018.06.19 |
---|---|
쌍꼬리부전나비 [Ssang-ggo-li-bu-jeon-na-bi] (0) | 2018.06.14 |
2018. 06. 13
쌍꼬리부전나비 (0) | 2018.06.19 |
---|---|
쌍꼬리부전나비 [Ssang-ggo-li-bu-jeon-na-bi] (0) | 2018.06.14 |
2018. 06. 17
쌍꼬리부전나비 (0) | 2018.06.21 |
---|---|
쌍꼬리부전나비 [Ssang-ggo-li-bu-jeon-na-bi] (0) | 2018.06.14 |
2018. 06. 13
학명 : Spindasis takanonis (Matsumura, 1906)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Lycaenidae)
아과 :
크기 : 날개 편 길이 25~35㎜
식초 : 개망초, 큰까치수염, 밤나무의 꽃 꿀
월동 : 애벌레는 개미와 공생
변이 :
암수구별 : 수컷은 암컷보다 다소 작고 앞날개 외연이 직선에 가깝다.수컷은 날개 윗면의 기반부가 보라색으로 빛난다.
암컷은 앞날개 외연이 둥그스름하다. 날개 윗면의 기반부가 흑갈색이다.
출현시기 : 6월, 7월
분포지역 : 한국 서울, 경기, 강원과 일본, 중국 서부
서식지 :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생태
나비목 부전나비과 쌍꼬리부전나비속에 속하는 곤충. 날개 편 길이는 25~35㎜이며 날개 윗면은 흑갈색이다.
뒷날개에 있는 꼬리모양돌기를 움직이면 머리에 난 더듬이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과 도시 근처의 도시림에 서식한다. 한국, 일본,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나비목 부전나비과 쌍꼬리부전나비속에 속하는 곤충.
뒷날개 아래쪽에 꼬리모양의 돌기 2쌍이 달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날개 편 길이는 25~35mm다. 날개 윗면은 흑갈색이며,
수컷의 날개는 햇빛이 비치면 보랏빛 광택을 띤다. 날개의 아랫면은 짙은 황색에 흑색 점무늬의 줄이 있다. 꼬리모양돌기가 있는 뒷날개 끝에는 주황색 바탕에 뚜렷한 검은 점무늬가 나타난다.
날개를 접고 있을 때, 뒷날개에 있는 꼬리모양돌기를 움직이면 머리에 난 더듬이처럼 보인다.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에서 주로 서식한다.
낮에는 서식지 주변 나뭇잎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개망초, 큰까치수염, 밤나무의 꽃에 날아와 꿀을 빤다.
산란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이다. 암컷은 소나무와 신갈나무, 노간주나무의 틈에 알을 낳는데,
유충과 공생관계인 개미가 살고 있는 나무를 찾는다.
공생 개미가 없으면 쌍꼬리부전나비의 유충은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충은 개미가 토해준 먹이를 먹고 자라고, 개미는 유충의 배에서 배출되는 달콤한 즙을 얻어먹는다.
한국의 경기도 고령산, 덕암산, 앵무봉, 서울의 반포, 관악산, 경희대,
충청북도 제천시, 옥천군, 강원도 영월군 등지에서 관찰된다.
일본에서는 혼슈 지방에 국부적으로 분포하고,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도시 주변의 도시림에 서식하는데, 도시 개발에 따른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수가 줄고 있다.
관상가치가 매우 높아 남획도 심하다.
환경부에서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징
날개 편 길이는 33mm 내외이며, 외형상 일반 부전나비 무리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는다.
습성
소나무가 많은 저산지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맑은 날 오전 중에는 움직임이 별로 없다가 해질무렵 수컷은 활발하게 날며 점유행동도 강하게 한다. 앉아서 쉴 때는 날개를 접으나 흡밀하거나 점유행동을 할 때에는 날개를 반쯤 펴고 앉는 일이 많다.
쌍꼬리부전나비 (0) | 2018.06.21 |
---|---|
쌍꼬리부전나비 (0) | 2018.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