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08. 19  양구 해안면 촬영


학명 : Maculinea euphemus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크기 : 앞날개 길이 수컷 14~25 mm, 암컷 17~27 mm
식초 : 오이풀 (장미과), 종령-개미와 공생

월동 :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고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검은색 점이 크게 나타난다.


출현시기 : 8월 초순~9월 〈연 1회 발생〉

분포지역 : 경기도(현리), 강원도(해안면,오대산), 경상도의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국외에는 유라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다. 근래에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서식지 :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멸종 위기종


특징

앞날개의 길이는 수컷이 14~25 mm, 암컷이 17~27 mm이다. 빛깔은 흑갈색이며 안쪽은 하늘색으로 빛나지만 변화가 많다. 뒷면은 회색이고 작은 흑점이 2∼3줄 늘어섰다. 연 1회, 7∼9월에 발생한다. 오이풀의 꽃이삭에 산란하며 유충은 오이풀의 꽃이삭의 속을 먹는다. 4령(四齡) 이후 빗살뿔개미에 의해 뿔개미의 집으로 옮겨져, 그 알이나 유충을 먹고 성장한다. 한국 ·사할린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라시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중북부지방의 산지 풀밭에 분포한다. 남한에서는 현재 강원도 중북부지방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 관찰되며, 개체수가 매우 적다. 특히, 근래에 관찰지나 개체수가 급격히 줄고 있어 보호가 필요하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 말부터 9월에 걸쳐 나타난다. 1887년 Fixsen이 Lycaena euphemus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석주명(1947: 6)에 의한 것이다. 국명이명으로는 조복성과 김창환(1956: 50)의 ‘점백이푸른부전나비’가 있다.


변이

강원도 동 · 북부 지역산(81a, 81b) 중에는 날개 윗면에 검은색 인분이 발달하고, 외연부의 검은색 테가 현저히 넓어 타 지역산에 비해 어둡게 보이는 개체가 간혹 있는데, 그런 개체의 날개 아랫면은 황색감이 강하게 나타난다. 개체 간에는 앞날개와 뒷날개의 윗면에 배열된 검은색 점의 수와 배열에 따라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생태

야산이나 밭, 묘소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채광이 좋을 때 주로 활동하며, 오이풀, 엉겅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꽃에 한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초의 꽃을 먹고 자란 후 종령 애벌레가 되면 코토쿠뿔개미(Myrmica Kotokui Forel)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개미와 공생한다. 개미는 나비 애벌레의 분비물을 먹고 나비 애벌레는 개미 애벌레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습성

저산지의 오이풀이 있는 곳이나 밭 주변에 서식한다. 흐린 날에는 풀이 v 위에 앉아 있는 일이 많고 맑은 날에는 활발하게 서식지 주변을 날아다닌다. 오이풀, 엉겅퀴꽃에서 흡밀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