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04 소용늪에서 촬영
팔랑나비과 (Hesperiidae)
- 수풀꼬마팔랑나비 2018.08.06
- 파리팔랑나비 2018.08.06
- 수풀떠들썩팔랑나비 [Su-pul-ddeo-deul-sseok-pal-lang-na-bi] 2018.07.09
- 지리산팔랑나비[Ji-li-san-pal-lang-na-bi] 2018.07.09
- 파리팔랑나비 2018.06.19
- 돈무늬팔랑나비 2018.06.14
- 줄꼬마팔랑나비 2017.07.19
수풀꼬마팔랑나비
파리팔랑나비
2018. 08. 04 소용늪에서 오후에 담음
'팔랑나비과 (Hesperiidae) > 파리팔랑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팔랑나비 (0) | 2018.06.19 |
---|
수풀떠들썩팔랑나비 [Su-pul-ddeo-deul-sseok-pal-lang-na-bi]
2018. 07. 07 (사육개체)
학명 : Ochlodes venata (Bremer et Grey, 1853)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팔랑나비과
아과 :
크기 : 앞날개 길이 14∼20㎜
식초 : 왕바랭이, 그늘사초, 갈퀴나물, 엉겅퀴, 큰까치수염 등의 꽃의 꿀
월동 : 애벌레 (유충은 참억새 등 화본과식물을 먹는다. )
변이 : 강원도 동 · 북부 지역산(194a)은 앞 · 뒤날개 내연부에 검은색 인분이 퍼져 있어
다른 지역산에 비해 어둡게 보인다.
암컷 간에는 앞 · 뒤날개에 나타나는 황갈색 무늬의 발달 정도(194e→194f→194g)로 변이가 나타난다.
암수구별 : 수컷은 앞날개 중실 밑에 검정색 선상 성표가 잇다.
암수에 따라 아주 다르며 암컷은 암갈색 바탕에 등황색 무늬가 있으나 수컷은 등색 또는 녹등색으로
앞날개 중실 아래의 기울어진 검정색의 성표(性標)가 눈에 띈다. 수컷은 앞날개 바깥선두리 및
뒷날개 앞면의 암색부가 희미하게 나타나 있다.
출현시기 :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사할린에서 유럽, 아시아 북부
서식지 : 산지의 풀밭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완전탈바꿈(알-애벌레-번데기) 과정을 거쳐 어른벌레가 되는 곤충이다. 동해안 일부와 서해안 일부를 제외한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산지의 풀밭을 빠르게 날아다니며, 갈퀴나물이나 엉겅퀴 등의 꽃에서 꿀을 먹는다. 수컷은 앞날개 윗면 중실 아래에 비스듬한 검은 선으로 된 성표가 있다. 다른 떠들썩팔랑나비 종류와 생김새가 비슷하다.
습성
주로 높은 산지의 초원이나 버려진 밭 주변 등에 서식한다. 암수 모두 갈퀴나물, 큰까치수영, 엉겅퀴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수컷은 습지나 새똥 등에도 잘 모인다. 경기도의 저산지에 사는 개체들은 수컷의 날개 윗면의 색이 혹화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생태
산지의 숲과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민첩하게 날아다니며 꿀풀, 갈퀴나물, 큰까치수영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수컷은 습기 있는 땅바닥과 새의 배설물에 잘 앉는다. 암컷은 식초의 잎 아랫면에 한 개씩 산란한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지리산팔랑나비[Ji-li-san-pal-lang-na-bi]
2018. 07. 07. 상원사 (사육개체)
학명 :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팔랑나비과(Hesperiidae)
아과 :
크기 : 앞날개 길이 16~20mm
식초 : 참억새, 큰기름새(화본과) [추정]
월동 :
변이 : 특별한 변이는 없다.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보다 날개의 폭이 넓고 날개 외연이 둥그나, 복부 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출현시기 : 7~8월 〈연 1회 발생〉
분포지역 : 한반도(일부 해안 지역 제외), 베트남 북부, 중국, 타이완, 일본
서식지 : 숲가장자리나 숲속의 풀밭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날개의 윗면은 흑갈색 바탕에 윗날개에는 사각형의 흰색 점무늬가 있다. 뒷날개 뒷면은 황색 바탕에 흰색 점무늬가 여러 개 있다. 미상돌기는 없고 소형종이다.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작으며 둥글다.
한반도에는 중 · 남부지방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서 개체수는 많지 않으며, 제주도, 울릉도 등 도서지역에서는 관찰기록이 없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부터 8월까지 산지의 초지대에서 관찰된다. 유충으로 월동한다.
생태
산지와 주변의 채광이 좋은 초지에 서식한다. 풀밭 사이를 날아다니며 엉겅퀴, 꿀풀, 큰까치수영, 조이풀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수컷은 습기 있는 땅바닥에 잘 앉으며, 나무 끝에 앉아 점유 행동을 한다. 암컷은 식초의 잎에 한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초의 잎을 말아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집을 만들어 그 속에서 자란 후 월동한다.
파리팔랑나비
2018. 06. 17
학명 : Aeromachus inachus (Ménétriès, 1859)
과 : 팔랑나비과
크기 : 앞날개 길이 10∼13mm
식초 : 기름새, 큰기름새(화본과)
출현시기 : 6월 초순~7월, 8~9월 〈연 2회 발생〉
분포지역 : 한반도(제주도 제외), 중국, 우수리, 아무르, 일본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생태
성충은 5월 하순에서 9월 초순에 걸쳐 연 2회 출현한다. 잡목이 우거진 산의 숲 가장자리에서 살며, 개망초, 나무딸기, 엉겅퀴 등의 꽃에서 꿀을 즐겨 빤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지만 발생 시기에 출현 밀도는 낮다.
습성
벌채된 장소나 나무가 적은 숲 가장자리 또는 하천 주변에 서식하며, 크기가 작고 빠르게 날개 때문에 한 번 날아가면 찾기 힘들다. 잎 위에 정지할 때 날개를 접으나 햇빛이 강해지면 뒷날개는 반쯤 펴고 앉는 경우가 많다. 이때 점유행동을 강하게 한다.
변이
발생 시차에 따른 변이나 개체 간의 변이가 거의 없다.
암수 구별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그나, 복부 끝의 모양을 비교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특징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날개모양이 둥그스름하고, 수컷은 앞날개 제1b실 중앙에 황백색 발향린에 의한 짧은 줄이 있다
'팔랑나비과 (Hesperiidae) > 파리팔랑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팔랑나비 (0) | 2018.08.06 |
---|
돈무늬팔랑나비
2018. 06. 13
학명 Heteropterus morpheus
목 : 나비목(Lepidoptera)
과 : 팔랑나비과(Hesperiidae)
크기 : 앞날개 길이 12∼20㎜
식초 : 기름새, 큰기름새(화본과)
암수 구별 : 수컷의 복부 끝에는 잔털이 뭉쳐 있으나 암컷에는 없다.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출현시기 : 5월, 6월, 7월, 8월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아무르, 유럽
월동 : 애벌레
생태
성충은 5~8월에 연 2회 출현한다. 깊은 산속보다는 초입의 풀밭이나 도로변에서멈칫멈칫 날아서 개망초, 조뱅이, 토끼풀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유충의 먹이식물은 기름새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한반도 중부 이북에서 잘 관찰된다.
발생 시기에 출현 밀도는 중간 정도이다.
산기슭과 전답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암컷은 식초의 잎 아랫면에 한 개씩 산란한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변이
발생 시차에 따른 변이는 거의 없다. 수컷 중에는 앞날개 윗면 날개 끝 아래의 주황색 무늬가 없는 개체(191a)가 있다. 또 뒷날개 아랫면이 흑갈색인 개체(191c)와 황갈색인 개체가 있다.
암컷 개체간에는 황갈색 색상 차이(191i→191j)로 변이가 나타난다.
특징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크고 날개색이 연하다. 무늬에는 암수의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배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습성
산지에 접해 있는 초지, 밭, 습지 주변에 서식하며 간혹 산림 안의 벌채된 장소에도 서식한다. 날때에는 톡톡 튀듯이 날다가 날개를 접고 풀잎 위에 앉는데 햇빛이 강하면 날개를 펴고 일광욕을 한다. 개망초, 조뱅이의 꽃에서 흡밀한다.
줄꼬마팔랑나비
2017. 07. 15 운길산 세정사에서
줄꼬마팔랑나비 학명 (Thymelicus leoninus)
계 > 동물 > 문 > 절지동물 > 강 > 곤충류 > 목 > 나비목 > 과 > 팔랑나비과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멸종위기등급 : 평가불가
크기 : 앞날개의 길이 13~16mm
서식장소 : 산지의 초원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시베리아
설 명
앞날개의 길이 13~16 mm이다. 암수의 차가 뚜렷하다. 수컷은 날개맥 이외에는 바깥가두리만이 가늘게 흑갈색이고 암컷은 바깥가두리가 넓게 흑갈색이다. 수컷은 앞날개 앞면 가운뎃방 아래를 따라 발향비늘줄이 있으나 암컷은 이것이 없다. 연 1회 7∼8월에 발생한다. 산지의 초원에 많고 갈퀴나물 ·큰까치수영 등의 꽃에 날아든다. 유충은 개밀 ·꼬리새 등 화본과식물을 먹는다. 유충으로 월동한다.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두산백과)
성 충 [수컷]
수컷은 앞날개 중실 아래로 비스듬히 날개 아래쪽으로 달리는 광택있는 선모양의 성표가 있어 암컷과 쉽게 구별된다.
성 충 [암컷]
이 종의 암컷은 수풀꼬마팔랑나비와 비슷하므로 혼동하기 쉽다.
습 성
수풀꼬마팔랑나비와 유사한 환경에 서식하며 두 종이 혼서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발생지를 벗어나지 않고 그 주변의 개망초, 큰까치수영, 갈퀴나물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날 때에는 수풀꼬마팔랑나비와 구별이 쉽지 않아 채집하여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