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02. 15 신안산대학교 교정에서 촬영


학명

Carduelis spinus (Linnaeus, 1758)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되새과

크기 : 약 12.5cm 

무게 : 약 10g ~ 14g 

식성 ; 잡식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숲 

임신기간 : 약 11~14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형태

크기: 약 12.5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수컷의 이마, 정수리, 턱은 검은색이고, 얼굴은 노란색이다. 뒷목과 등은 녹황색에 흐릿한 검은 줄무늬가 있다. 가슴은 노란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옆구리에 흑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부리는 뾰족하고, 청회색과 분홍빛이 섞여 있으며, 윗부리 등과 부리 끝은 흑갈색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수컷보다 색이 엷다. 머리를 포함한 몸윗면은 녹갈색에 검은 줄무늬가 흩어져 있고, 몸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주요 형질: 날 때 날개의 노란색 2열의 선이 명확하게 보이며, 외측 꼬리깃에 노란 무늬가 선명하다.


생태

서식지: 평지에서 산지의 침엽수림, 하천가 관목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식물의 종자를 주로 먹는다.
행동습성: 비번식기에는 항상 무리지어 행동하며 파도 모양을 그리며 난다. 주로 오리나무 열매 등 씨앗을 좋아하며, 달맞이꽃의 죽은 줄기에 앉아 씨앗을 빼먹기도 한다. 10월 하순부터 도래하여 월동하며,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새 의 귀여운 다툼  (0) 2017.07.19
쇠붉은뺨멧새 (little bunting)  (0) 2015.04.27
멋쟁이의 비상  (0) 2013.02.09
바위종달이  (0) 2013.01.20
노랑턱멧새  (0) 2013.01.16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머리방울새   (0) 2018.02.16
쇠붉은뺨멧새 (little bunting)  (0) 2015.04.27
멋쟁이의 비상  (0) 2013.02.09
바위종달이  (0) 2013.01.20
노랑턱멧새  (0) 2013.01.16

 

2015. 04. 19 충청남 마도에서 촬영

 

 

학명 : Emberiza pusilla


계 > 동물 > 문 > 척삭동물 > 강 > 조류 > 목 > 참새목 > 과 > 되새과

멸종위기등급 : 관심필요

생활양식 : 암수 함께 생활(여름), 무리 생활(겨울). 1회에 4∼5개의 알을 낳음

크기 : 약 13cm

몸의 빛깔 : 갈색

서식장소 : 성긴 숲, 농경지

분포지역 : 동아시아·중앙아시아·유럽

 

특징

몸길이 약 13cm이다.

등은 갈색 바탕에 검정색 세로무늬가 있다.

정수리와 뺨은 밤색이고 그 둘레는 검정색이다.

가늘고 흰 눈썹선과 검정색 턱선이 특징이다. 암수의 빛깔이 비슷하다.

여름에는 암수 함께 생활하나 겨울에는 작은 무리 또는 큰 무리를 지어 산다.

땅 위에서 먹이를 찾기도 하지만, 대개 높은 나뭇가지 위에 앉아 지낸다.

날 때는 날개를 빨리 퍼덕여 파도 모양을 그리면서 날아간다.

 

한국에서는 봄과 가을에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나 일부는 남부 지역에 남아 겨울을 나는 보기 드문 겨울새이기도 하다.

성긴 숲, 농경지 등지에 서식하며 이동할 때는 낮은 관목이나 덤불에서도 눈에 띈다.

습지에 자라는 버드나무나 관목이 드문드문 자라는 초원에 밥그릇 모양 둥지를 틀고 동물의 털이나 가느다란 풀을 깔아 알자리를 만든다.

 

알을 낳는 시기는 6월 중순에서 7월까지인데, 한배에 4∼5개, 드물게는 6개까지 낳는다.

부화한 지 4∼5일 된 새끼는 짙은 갈색 솜털이 뒷머리와 어깨·목·배 부위에 난다.

먹이는 잡식성이며 주로 딱정벌레나 잡초 씨앗을 먹는다.

동아시아·중앙아시아 및 유럽에 분포하고 중국 남부와 홍콩·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난다.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머리방울새   (0) 2018.02.16
방울새 의 귀여운 다툼  (0) 2017.07.19
멋쟁이의 비상  (0) 2013.02.09
바위종달이  (0) 2013.01.20
노랑턱멧새  (0) 2013.01.16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새 의 귀여운 다툼  (0) 2017.07.19
쇠붉은뺨멧새 (little bunting)  (0) 2015.04.27
바위종달이  (0) 2013.01.20
노랑턱멧새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붉은뺨멧새 (little bunting)  (0) 2015.04.27
멋쟁이의 비상  (0) 2013.02.09
노랑턱멧새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아 따랑해...  (0) 2013.01.16

 

 

 

 

2013. 01. 15 광릉수목원에서

 

 노랑턱멧새 (yellow-throated bunting)


분 류 : 동물 > 조류 > 되새과
분 포 : 아시아, 유럽
크 기 : 약 14cm~16cm |
무 게 : 약 0.014kg~0.022kg
위기도 : 낮은위기

소개
멧새과(―科 Emberizidae)에 속하는 몸길이 15㎝ 정도의 명금류(鳴禽類). 수컷은 작은 검은색의 댕기처럼 생긴 관우(冠羽), 검은색 안면과 흉대, 노란색 눈썹선과 멱을 갖고...

수컷은 작은 검은색의 댕기처럼 생긴 관우(冠羽), 검은색 안면과 흉대, 노란색 눈썹선과 멱을 갖고 있다. 등은 갈색이고 어두운 색의 세로무늬가 있으며, 배는 흰색이고 옆구리에 약간의 세로무늬가 있다. 암컷에게는 검정색의 댕기처럼 생긴 관우(冠羽)와 흉대가 없지만 그밖에는 수컷과 비슷하다. 덤불이 산재하는 농지·소림·잡목림 등지에서 생활하는 흔한 텃새이다. 아무르, 우수리 동부 등 시베리아 지방에서 남쪽으로 중국 동북지방(만주)과 한국에 이르는 동북 아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의 번식집단은 가을부터 남하해오므로 10월 중순 이후에 한반도의 중부 이남지역에서 흔히 눈에 띈다. 이동할 때에는 군서생활을 하며, 울음소리는 "치칫치칫", 때로는 "츄이츄이" 한다. 관목·소림·초지에 살고 5월 중·하순경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는다. 여름에는 곤충류, 겨울에는 식물의 종자를 먹는다.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쟁이의 비상  (0) 2013.02.09
바위종달이  (0) 2013.01.20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아 따랑해...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2013. 01. 15 광릉수목원에서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종달이  (0) 2013.01.20
노랑턱멧새  (0) 2013.01.16
양진아 따랑해...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이  (0) 2013.01.16

 

 

 

 

 

 

 

2013. 01. 15 광릉수목원에서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턱멧새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이  (0) 2013.01.16
멋쟁이새  (0) 2013.01.13

 

 

 

 

 

 

 

2013. 01. 15 광릉수목원에서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양진아 따랑해...  (0) 2013.01.16
양진이  (0) 2013.01.16
멋쟁이새  (0) 2013.01.13
양진이  (0) 2013.01.10

 

 

 

 

 

 

 

 

 

 

2013. 01. 15 광릉수목원에서

 

'참새목 > 되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진아 따랑해...  (0) 2013.01.16
양진이와 함께  (0) 2013.01.16
멋쟁이새  (0) 2013.01.13
양진이  (0) 2013.01.10
양진이  (0) 2013.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