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08. 19 강원도 양구에서 촬영
학명 : Plebejus argyrognomon, (Bergsträsser, 1779)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호랑나비상과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부전나비아과
크기 : 몸 길이 8mm (수 · 암 26~32mm)
식초 : 갈퀴나물, 괭이밥, 소리쟁이
월동 : 알로 월동한다.
변이 : 암컷은 앞날개와 뒷날개 윗면의 아외연부에 나타나는 붉은색 무늬의 발달 정도로 변이가 나타난다.
간혹 앞날개 아외연부에도 붉은색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개체(79f)가 있다.
암수구별 : 수컷은 날개 윗면 색상이 청람색이나 암컷은 흑갈색이다.
출현시기 : 5월 중순~10월 〈연 수 회 발생〉
분포지역 : 한반도(제주도 제외), 중국 동 · 북부, 우수리, 아무르, 몽고, 일본, 북아메리카의 북부 지역
서식지 : 산지, 초지
북한명 : 설악산숫돌나비(Seol-ak-san-sus-dol-na-bi)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날개 편 길이는 20mm 내외이다. 암컷과 수컷의 모양이 다른 동종이형(sexual dimorphism)이며 수컷의 경우 날개 윗면의 색깔이 청색계통이며 암컷은 흑색계통이다. 머리, 가슴, 배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더듬이는 곤봉형이다. 암컷의 경우 날개 윗면의 바깥 가장자리쪽에 주황색의 점무늬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하며 어른벌레는 5월 이후 지역에 따라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행높이가 지면에서 높지 않으며 주로 흰꽃에 많이 모이는 경향이 있다. 겨울나기는 알로 한다. 어른벌레의 암컷은 먹이식물이나 그 주변에 1개씩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날개 윗면이 청남색 바탕에 가장자리는 흑색 띠로 드리워져 있다. 암컷은 날개 윗면이 흑갈색 바탕이고 외연에 주홍색의 무늬가 발달하여 있다.
한반도에는 광역 분포를 하는 종이나, 제주도에서는 관찰기록이 없다. 년 수회 발생하며, 5월 하순부터 10월까지 양지 바른 논밭 주변, 제방 주변, 하천의 수변 주변에서 주로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