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08. 04 소용늪에서 오후에 촬영
'호랑나비과 [Ho rang na bi gwa] > 사향제비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향제비나비 (0) | 2018.08.12 |
---|---|
사향제비나비 [Sa hyang je bi na bi] (0) | 2017.07.30 |
2018. 08. 04 소용늪에서 오후에 촬영
사향제비나비 (0) | 2018.08.12 |
---|---|
사향제비나비 [Sa hyang je bi na bi] (0) | 2017.07.30 |
2018. 08. 17 여수 벡야도 백호산 전망대 부근에서
2018. 08. 17 백야도 백호산 2봉에서 촬영
2018. 08. 08 연암산 천정암 부근에서
사향제비나비 (0) | 2018.08.22 |
---|---|
사향제비나비 [Sa hyang je bi na bi] (0) | 2017.07.30 |
2018. 08. 08 연암산 천장암 부근에서
2017. 08. 09 장단면 율곡 반구정에서 촬영
학명 : Papilio machaon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과 : 호랑나비과
크기 : 날개길이 36∼59㎜
식초 : 미나리, 당근, 참당귀(산형과), 탱자나무, 유자나무, 백선(운향과)
월동 : 번데기로 겨울을 난다.
서식장소 : 평지나 고지의 정상
분포지역 : 한국, 유럽, 아시아 대륙 중부, 타이완, 중국, 히말라야
멸종위기등급 : 평가불가
암수 구별 : 암컷은 복부 끝에 교미기가 있는 특징으로 쉽게 구분된다. 봄형은 암수의 차이가 별로 없으나 여름형은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바탕색이 더 연하며 무늬도 덜 선명하다.
암컷의 날개는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근 모양이나, 복부 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생태
암수 모두 봄에는 수수꽃다리, 진달래, 얼레지, 복숭아나무, 라일락 등의 꽃을 찾고 여름에는 동자꽃, 이질풀, 쉬땅나무 등의 꽃을 방문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산, 평지 숲 등과 같은 숲지역 또는 마을과 경작지 주변에서 서식한다.
산 정상에서는 활발한 점유 행동 을 한다.
애벌레는 성장한 후 식초를 떠나 다른 나무나 풀, 돌 등에서 용화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변이 :
하형은 춘형보다 현저히 크고, 뒷날개 내연과 아외연부의 검은색 띠가 넓게 발달한다. 하형 암컷 중에는 앞날개와 뒷날개에 검은색 인분이 넓게 퍼져 전체가 어둡게 보이는 개체(7f)가 간혹 있다.
2017. 07. 29 오대산에서 촬영
학명 : Papilio maackii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과 : 호랑나비과
크기 : 날개길이 41∼75㎜
식수 : 황벽나무, 머귀나무(운향과)
월동 : 번데기
서식장소 : 계곡, 평지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사할린, 아무르, 중국, 타이완
멸종위기등급 : 평가불가
암수 구별 : 수컷의 앞날개 윗면에는 미세한 털이 밀생한 성표가 있으나 암컷에는 없다.
생태
산지의 계곡 주변 숲에 서식한다. 수컷은 계곡을 낀 산길에서 접도를 형성하여 선회하거나 정상으로 날아올라 그곳에서 선회하는 습성이 있다. 또, 습기 있는 땅바닥에 앉아 물을 빨아먹는데, 수십 마리가 무리지어 있을 때도 있다. 엉겅퀴, 나리, 쉬땅나무, 누리장나무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암컷은 식수의 잎 아랫면에 한 개씩 산란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습성
수컷은 집단적으로 계곡이나 화장실 주변 습지에 잘 모여 흡수하는 현상이 관찰되며 암수모두 엉겅퀴, 수수꽃다리, 곰취, 참나리 등의 꽃에 모여 흡밀한다. 일반적으로 산길이나 계곡을 따라 접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재빠르게 날아다닌다. 유충의 습성 및 형태는 제비나비와 흡사하다.
변이
경상 북도 울릉도산은 개체 크기와 암수의 앞날개와 뒷날개의 청록색 띠 모양 등이 내륙 지역산과 현저한 차이점이 나타난다. 제주도산 춘형 암수의 뒷날개 청록색 띠에는 남색감이 강하게 나타나며, 외연부의 붉은색 무늬가 발달한다. 제주도와 남부 지역산 중에 앞날개의 황록색 띠가 넓게 발달한 개체(11k, 11n)가 드물게 나타난다. 개체 간에는 날개 윗면의 청록색 띠의 폭과 색상 차이, 뒷날개 아랫면의 황색 띠의 발달 정도에 따라 다양한 변이가 나타난다.
구분 | 내륙 지역산 | 울릉도산 |
수컷의 앞날개 길이 | 약 65mm | 약 65mm |
암수의 뒷날개 청록색 띠 | 청록색 띠가 넓게 퍼져 연결성이 | 춘형과 동일하게 청록색 띠가 |
사향제비나비 애벌레
사향제비나비 번데기
2017. 07. 29 오대산에서 촬영
학명 : Atrophaneura(Byasa) alcinous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과 : 호랑나비과
멸종위기등급 : 평가불가
크기 : 날개길이 41∼55㎜
식초 : 쥐방울덩굴, 등칡(쥐방울덩굴과)
서식장소 : 평지, 산기슭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암수구별 : 수컷의 날개는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나 암컷은 흑갈색이다. 또, 수컷은 사향 향내가 난다.
생태
저산 지대와 주변의 숲에 서식한다. 풀밭 사이를 천천히 날아다니며 엉겅퀴, 쉬땅나무, 산초나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잎 아랫면에 여러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어린 애벌레는 잎에 모여서 살지만, 성장하면서 먹이를 찾아 흩어진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변이
중부 이남 지역산의 춘 · 하형 암컷(5c, 5i)은 동 · 북부 지역산에 비해 날개 윗면 색상에 황색감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춘형의 수컷 뒷날개 아랫면 아외연부의 무늬는 선명한 붉은색인데, 하형의 수컷은 황색을 띤 회색이다. 암컷도 춘형의 무늬는 주황색이나 하형은 황색을 띤 회색이다. 하형 수컷 간에는 뒷날개 아랫면 아외연부의 무늬 크기와 모양에 따라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사향제비나비 (0) | 2018.08.22 |
---|---|
사향제비나비 (0) | 2018.08.12 |
2017. 07. 25 세정사에서
학명 : Sericinus montela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과 : 호랑나비과
크기 : 앞날개 길이 25~36mm
식초 : 쥐방울덩굴(쥐방울덩굴과)
북한명 : 꼬리범나비(Kko-ri-beom-na-bi)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아무르 ·연해주
암수 구별 : 수컷의 날개 윗면은 회백색에 흑갈색 무늬와 선이 배열되어 있으나,
암컷은 흑갈색 부위가 넓게 발달한다.
멸종위기등급 : 평가불가
설명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 연 2~3회 발생하며, 4월부터 9월에 걸쳐 숲 가장자리나 풀밭에서 천천히 날아다닌다. 경기도 섬 지역의 땅콩 밭에서는 수백 마리씩 무리지어 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1887년 Fixsen이 Sericinus telamon greyi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석주명(1947: 9)에 의한 것이다.
생태
산기슭과 인접한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풀밭 사이를 낮게 날아다니며 개망초, 멍석딸기, 냉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줄기나 잎에 몇십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어린 애벌레들은 집단 생활을 하지만, 성장하면서 먹이 확보를 위해 흩어져 생활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변이
강원도, 해산 등 동 · 북부 지역산(4c, 4d)은 중 · 남부 지역산에 비해 현저히 작으며, 암컷 뒷날개 중앙부의 황색 선을 이루는 점들이 크고 황색감이 강하다. 춘형은 하형에 비해 작고 미상 돌기가 짧다. 하형은 춘형에 있던 앞날개 제6실의 붉은색 점이 없어진다. 개체 간에는 날개 윗면의 흑갈색 선과 무늬의 발달 정도(4e→4f, 4g→4h)로 변이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