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 동물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삵 (Leopard Cat )  (0) 2015.02.09
청서(청설모의 신문지 애착)  (0) 2012.07.11
다람쥐  (0) 2012.07.11
족제비  (0) 2012.07.11

 

2015. 02. 08 충남 서산에서 촬영

 

학명 :Felis bengalensis euptilura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식육목(Carnivora)
과 : 고양잇과(Felidae)
속 : 고양이속(Felis)

몸  길  이 : 55~90㎝,

꼬리 길이 : 25~32.5㎝,

뒷  다  리 :12.2㎝, 

수      명 : 10~15년 정도

귀 : 4.2㎝

새끼 : 4~5월경 빈 나무 구멍에 4~5마리를 낳는다.

임신기간 : 56~66일이며,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보살핀다.

식성 : 쥐 종류, 작은 동물, 꿩새끼,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닭, 오리, 곤충

활동시간  : 밤

특징

식육목에 속하며 고양이처럼 생겼으나 고양이보다 몸집이 크고 불분명한 반점이 많다. 입을 크게 벌릴 수 있고 머리는 둥글며, 턱의 근육이 발달하여 먹이나 다른 물건을 물어뜯는 힘이 매우 세다. 꼬리에는 고리모양의 가로띠가 있으며 눈 위 코로부터 이마 양쪽에 흰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황갈색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몸통에 있으며, 이마와 목으로 이어지는 뚜렷한 검은 세로줄 무늬가 있다. 꼬리는 두터우며 끝이 말리지 않고 아래로 늘어지거나 위로 살짝 구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발톱 끝으로 소리 없이 걷고, 다리가 튼튼해 날렵하게 잘 달린다. 어두운 곳에서는 눈동자가 완전히 벌어져 조금만 빛이 있어도 사물을 볼 수가 있어 밤에 먹이를 잡는데 아주 유리하다.
삵은 산림지대의 계곡, 바위굴, 연안, 관목(비교적 키가 작은 나무)으로 덮인 산골짜기 개울가에서 주로 살며, 마을 근처에서 살기도 한다. 단독 또는 한 쌍으로 생활하며, 야행성이지만, 골짜기의 외진 곳에서는 낮에도 먹이를 찾아다닌다. 먹이는 주로 쥐 종류와 작은 동물, 꿩 새끼,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닭, 오리, 곤충 등이다.

'동물 > 동물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삵 (사냥하는 장면)  (0) 2015.02.09
청서(청설모의 신문지 애착)  (0) 2012.07.11
다람쥐  (0) 2012.07.11
족제비  (0) 2012.07.11

 

 

 

 

청서(Korean squirrel)
척추동물 > 포유강 > 쥐목 > 다람쥐과  청서속
지역 : 아시아
크기 : 약 21cm~25cm
식성 : 잡식
임신 : 약 35~40일
위기도 : 낮은위기

 

소개

청설모라고도 함.

쥐목(─目 Rodentia) 다람쥐과(─科 Sciuridae)의 포유동물.

유라시아의 삼림·공원 등에 서식한다. 날카로운 발톱으로 미끄러운 줄기도 잘 기어오르며,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등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은 몸을 가지고 있다. 개체들 사이에 색깔의 변이를 보여 적갈색·갈색·검은색 개체들이 나타난다. 초식성인데 먹이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 가을에는 과일이나 열매를 먹지만 겨울에는 소나무의 씨 등도 먹는다. 먹이가 더욱 귀해지면 소나무나 젓나무 껍질도 먹게 된다. 나무 꼭대기에 나뭇가지나 잎으로 보금자리를 짓는데, 1번에 3~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동물 > 동물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삵 (사냥하는 장면)  (0) 2015.02.09
삵 (Leopard Cat )  (0) 2015.02.09
다람쥐  (0) 2012.07.11
족제비  (0) 2012.07.11

 

 

 

다람쥐(squirrel)
척추동물 > 포유강 > 쥐목 > 다람쥐과
학명 : Tamias sibiricus
지역 : 아시아, 유럽
크기 : 약 15cm~16cm
체중 : 약 50.0g~150.0g
식성 : 잡식
임신 : 약 22~45일

 

소개

일반적으로 쥐목(―目 Rodentia) 다람쥐과(―科 Sciuridae)에 속하는 설치류를 가리키는 말.

그러나 이 이름은 때때로 꼬리에 털이 많고 나무에 사는, 사람에게 친숙한 종(種)들에 한정되기도 한다. 다람쥐는 전세계 각지에서 숲이나 사막·초원·툰드라 등 다양한 서식지에 살고 있다. 약 50속(屬) 260종이 있으며, 이들 가운데는 땅다람쥐와 마못쥐, 줄무늬다람쥐류가 있다.

많은 다람쥐가 나무에 살지만 마못쥐 같은 몇몇은 땅에 살며, 날다람쥐와 같은 것들은 앞다리와 뒷다리를 연결하는 늘어지고 털이 덮인 피부를 이용해 나무 사이를 날아다닌다. 다람쥐는 어느 것이나 뒷다리가 강하고 꼬리가 잘 발달했으며, 꼬리에 털이 나 있다. 다람쥐는 색깔과 무늬가 서로 다르며, 모양도 가는 것(날다람쥐)부터 뚱뚱한 것(마못쥐)까지 다양하다. 몸길이도 다양해서 아프리카난쟁이다람쥐(Myosciurus pumilio)의 경우 10㎝밖에 안 되지만, 아시아에 사는 큰다람쥐류(Ratufa)는 90㎝에 이른다.

활공(滑空)을 하는 다람쥐를 뺀 모든 다람쥐들은 주행성(晝行性)이다. 나무에 사는 다람쥐들은 민첩하며, 나무에 뚫린 구멍 또는 잎이나 나뭇가지로 지은 둥지에 살며 대개 1년 내내 활동한다. 땅에 사는 다람쥐들은 굴에 살며 대부분 겨울잠이나 여름잠을 잔다. 다람쥐는 주로 채식을 하며 씨앗이나 견과(堅果)를 좋아한다. 몇몇 종은 곤충을 먹거나, 동물성 단백질을 곁들여 먹는다. 암컷은 1년에 한 번 또는 여러 번 새끼를 배며, 한배에 1~15마리를 낳는다. 회임기는 22~45일이다.

55종의 다람쥐가 속해 있는 스키우루스속(Sciurus)은 유라시아와 신대륙 전역에서 볼 수 있으며, 청설모(S. vulgaris)와 미국 중동부지역의 동부회색다람쥐(S. carolinensis)·동부여우다람쥐(S. niger) 등이 이 속에 속한다. 이 속에 속한 다람쥐들은 많은 시간을 나무에서 보내며, 가끔 내려와 먹이를 찾거나 땅 속에 견과를 묻는다. 꼬리를 뺀 몸길이가 20~30㎝이며 꼬리도 그 정도 길이이다. 몸의 색깔은 보통 회색·검갈색·적갈색이며 아랫부분은 흰색에서 적갈색을 띠고 있다. 청설모 등 몇몇은 귀에 술이 달려 있다. 동부회색다람쥐와 동부여우다람쥐는 모두 도시의 공원이나 정원에 흔히 사는 것들로, 작은 사냥 동물이며, 사람이 먹을 수 있다. 이들은 북아메리카 서부에 유입되었고, 동부회색다람쥐는 영국과 남아프리카에도 전래되었다. 소련에서는 두터운 겨울 모피를 얻기 위해 청설모를 사냥하는데, 영국에서 일본에 이르는 지역의 숲이 이것의 원산지이다. 영국의 일부 지역에는 청설모 대신에 동부회색다람쥐가 살고 있다.

타미아스키우루스속(Tamiasciurus)은 고성(高聲)을 내는 다람쥐로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주로 침엽수림에 살고, 습관적으로 솔방울을 많이 모아 두었다가 겨울에 쓴다. 이 속에는 알래스카에서부터 뉴멕시코와 남캐롤라이나에 이르는 지역에 사는 아메리카붉은다람쥐(T. hudsonicus)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는 지역에 사는 더글러스다람쥐(T.douglasii)가 있다. 아메리카붉은다람쥐는 10~15㎝쯤 되는 꼬리를 뺀 몸길이가 20㎝이며, 아랫부분이 희다. 더글러스다람쥐는 그보다 약간 작고 아랫부분은 적갈색이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나무에 사는 다람쥐가 많이 있는데, 이 가운데 유명한 것으로는 갈색 또는 거무스름하며 얼룩이 있는 프로톡세루스 스탄게리(Protoxerus stangeri), 등에 줄이 종축(縱軸)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 있는 푸니스키우루스속(Funisciurus)의 10여 종, 회색빛 노랑에서 연한 적갈색을 띠며 얼룩이 지고 줄이 있거나 없는 파락세루스속(Paraxerus), 단색(單色)을 띠며 때때로 녹색빛이 도는 헬리오스키우루스속(Heliosciurus) 등이 있다.

아시아에도 나무에 서식하는 다람쥐가 많이 있다. 푸남불루스속(Funambulus)은 줄무늬다람쥐류처럼 생겼으며, 회갈색이나 거무스름한 색을 띠고 있다. 라투파속(Ratufa)은 민첩하며, 색깔이 다양하여 흰색이나 검은색, 황갈색에서 적갈색, 회색을 띠고 있다. 20여 종이 있는 칼로스키우루스속(Callosciurus)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동아시아에 사는 다람쥐로, 대개 밝은 색상을 띠고 있다.

육상 다람쥐에 대해서는 '땅다람쥐류 ', '마못쥐 ', '줄무늬다람쥐류 ', '프레리도그 ' 항목을, 활공하는 다람쥐에 대해서는 '날다람쥐류 ' 항목을 참조.

'동물 > 동물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삵 (사냥하는 장면)  (0) 2015.02.09
삵 (Leopard Cat )  (0) 2015.02.09
청서(청설모의 신문지 애착)  (0) 2012.07.11
족제비  (0) 2012.07.11

 

'동물 > 동물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삵 (사냥하는 장면)  (0) 2015.02.09
삵 (Leopard Cat )  (0) 2015.02.09
청서(청설모의 신문지 애착)  (0) 2012.07.11
다람쥐  (0) 2012.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