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08. 09 율곡수목원에서 촬영


학명 : Polygonia c-aureum (Linnaeus, 1758)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곤충류

목 : 나비목 (Lepidoptera)

과 : 네발나비과 (Nymphalidae)

크기 : 날개길이 수 · 암 41~55mm
식초 : 환삼덩굴(뽕나무과)

월동 : 성충

출현시기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며, 하형은 날개 아랫면의 황색 색상이 짙고,

              추형은 적갈색 색상이 짙다.


특징

여름형은 윗면이 황갈색에 검은색의 점무늬가 있으며 아랫면은 연한 황갈색 바탕에 갈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으나 가을형은 윗면이 붉은색이 돌고 아랫면은 짙은 적갈색이다. 무늬에 의한 암수구별은 어렵고 배끝의 모양으로 확실하게 구별된다.

한반도에는 광역 분포를 하는 종이며, 개체 수는 매우 많다. 연 2~4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하여 3월부터 11월에 걸쳐 나타난다. 낮은 산지와 숲 가장자리, 민가 주변, 수변지역 등 다양한 지역에서 쉽게 관찰된다. 성충으로 월동한다


변이

제주도산과 서해 도서 지방산의 하형(128c, 128d)은 내륙 지역산보다 다소 흑화되어 어둡게 보인다. 하형에 비해 추형은 날개 윗면 색상이 황적색으로 밝으며, 날개 외연의 굴곡이 깊게 나타난다.


생태

일반적으로 낮은 계곡주변이나 강가 등에 살며 매우 흔한 종이다. 여름형과 가을형은 날개의 색이나 모양에서 차이가 관찰된다.


습성

주로 여름형은 나무진에 모여들며, 가을형은 구절초, 산국 등의 꽃에서 꿀을 빨며 떨어진 감의 과즙을 먹는 경우도 있다. 여름형은 6월에서 8월에, 가을형은 다음해 5월, 중부방의 경우 2-3회, 남부지방에서는 3-4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