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06. 15



학명 : Favonius taxila, (Bremer, 1861)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호랑나비상과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녹색부전나비아과


크기 : 몸길이 7㎜, 편 날개의 길이 18㎜ 날개 편 길이 : 수 · 암 31~37mm

식초 : 신갈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

월동 : 알

변이 :

암수구별 : 암수구별은 다른 녹색부전나비류와 같다.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서식지 : 산지


북한명 : 참푸른숫돌나비(Cham-pu-reun-sus-dol-na-bi)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요약

한반도에서는 중북부지방의 산지 중심으로 폭넓게 분포하나, 남부지방에서는 제주도와 지리산 일대, 부산 일대 등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중순부터 8월에 걸쳐 나타난다. 1932년 Nakayama가 Zephyrus jozana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이승모(1971: 6=F. cognatus)에 의한 것이다. 국명이명으로는 김헌규와 미승우(1956: 389), 조복성(1959: 66), 김헌규(1960: 258)의 ‘아이노녹색부전나비’가 있다. 이승모(1971: 6; 1973: 5)는 Chrysozephyrus aurorinus를 ‘아이노녹색부전나비’로 적용한 바 있다.

몸길이 7mm, 날개 편 길이 18mm이다. 북한에서는 참푸른숫돌나비라고 한다. 더듬이는 곤봉형이며, 머리·가슴·배의 윗부분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앞날개와 뒷날개 모두 윗면은 흑갈색이며, 수컷은 앞날개 윗면과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초록색의 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흑갈색이다.

날개 아랫쪽은 연한 회색 바탕이며, 앞날개와 뒷날개의 가장자리 부근에 흰색의 두꺼운 세로줄 무늬가 있다. 뒷날개의 아랫부분에는 돌기가 나 있고 주위에 주황색 무늬가 있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 시기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한다. 어른벌레는 6월~8월경 단 1회 발생하며 먹이식물 근처에서 점유행동을 보인다. 주로 낮은 곳에서 활동하며 높이 비행하지 않는다. 어른벌레의 암컷은 먹이식물의 잎눈 주변에 1개씩 알을 낳는다. 주로 한국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남부지방의 경우 일부 고지대에서 발견된다.



생태
알은 기주식물의 겨울는 밑에 한 개∼수십 여개 산란되어 있는 것이 주로 낮은 위치에서 발견된다.

습성
산지의 계곡이나 임도 주변의 참나무 숲에 서식하며 개체수는 많다. 수컷은 주로 오전 9시 전후에 점유활동을 활발히 하며, 잎 위의 이슬과 습지의 물을 흡수한다. 드물게 개망초꽃에서 흡밀하기 위해 모이는 경우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