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05. 05 경기 안양시 관악산에서

 

학 명 : Iris rossii Baker var. rossii
분 류 : 현화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붓꽃과
형 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자 생 지 : 산지
분 포 지 : 한국, 일본, 중국
꽃 말 : 기쁜 소식
꽃 특 징 : 야생화
꽃 색 깔 : 자주색
개화시기 : 4~5월
개화계절 :

용 도 : 분재, 관상용
종 류 : 식용식물(뿌리)

국내분포지 : 전국

특징적분류 : 약용식물

 

꽃생김새

5~15cm 길이의 꽃줄기 끝에 자주색으로 핌. 녹색의 포가 있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그 끝이 다시 2개로 갈라짐.


특징

섬유로 덮인 뿌리줄기가 있다. 잎은 꽃줄기와 길이가 비슷하다가 꽃이 진 다음 더 자라며 맥이 흐릿하고 잎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꽃은 4~5월에 5~15cm 길이의 꽃줄기 끝에 자주색으로 핀다. 녹색의 포가 있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그 끝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삭과인 열매는 5~6월에 성숙한다. 분재나 관상용으로 기르며 뿌리를 약재로 이용한다.전국의 산지 곳곳에서 자라는 숙근성 다년초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봄야생화 > 봄야생화 항목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난  (0) 2012.07.10
금난초  (0) 2012.07.10
올괴불나무  (0) 2012.07.10
복수초  (0) 2012.07.10
처녀치마  (0) 2012.07.10

 

 

 설명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잿빛이다. 나무껍질세로로 갈라지고 줄기의 속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고 길이 3∼6cm, 나비 2∼4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은 3∼5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는데, 묵은 가지 끝에서 길이 2∼3mm의 꽃자루가 나와 2송이씩 달린다. 꽃자루에는 잔털이 나고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가운데가 갈라지고 화관은 짧고 5갈래로 갈라지며 위·아랫입술꽃잎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장과로서 공 모양이고 5∼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주로 심는다.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에 분포한다.


'봄야생화 > 봄야생화 항목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난  (0) 2012.07.10
금난초  (0) 2012.07.10
붓꽃  (0) 2012.07.10
복수초  (0) 2012.07.10
처녀치마  (0) 2012.07.10

 

 

2011. 04. 16 경기도 남양주시 천마산에서

 

복수초(Pheasant´s-eye)

학 명 : Adonis amurensis Regel &Radde

분 류 :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형 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자생지 : 산지

분포지 : 한국 (전국), 일본, 중국, 동부 시베리아

크 기 : 30~40cm

꽃 말 : 회상, 비애, 영원한 행복

꽃특징 : 야생화

꽃색깔 : 황색

 

꽃생김새

원줄기 끝에 황색의 꽃이 1개씩 달림. 꽃잎은 20~30개 정도이고 수술은 많음.


특징

짧고 굵은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는 나중에 30~40cm 정도 까지 자라며 밑부분이 얇은 막질의 잎으로 싸인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3~4회 우상으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이른 봄에 원줄기 끝에 황색의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은 20~30개 정도이고 수술은 많다. 수과인 열매는 원형으로 짧은 털이 밀생한다.한국 원산으로 중국, 일본,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는 숙근성 다년초이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광활하게 분포하며 봄철의 성장기에 햇빛을 많이 요구한다.

 


 

'봄야생화 > 봄야생화 항목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난  (0) 2012.07.10
금난초  (0) 2012.07.10
붓꽃  (0) 2012.07.10
올괴불나무  (0) 2012.07.10
처녀치마  (0) 2012.07.10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처녀치마

생물학적 분류 : 피자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산지의 그늘 습기 많은 곳

크기와 너비 : 크기 10~30cm

꽃특징 : 야생화

용도 : 관상용

 

특징

처녀치마는 전국 산지에서 자라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지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서식한다. 키는 10~30㎝이고, 잎은 길이가 6~20㎝이고 둥근 방석처럼 둥글게 퍼지고 윤기가 많이 나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적자색으로 줄기 끝에서 3~10개 정도가 뭉쳐 달린다. 꽃잎 밖으로는 수술대보다 긴 암술대가 나와 있다. 꽃이 필 때 꽃대는 작지만, 꽃이 질 때쯤에는 길이가 원래보다 1.5~2배 정도 자라 있다. 열매는 8월경에 길이가 약 0.5m로 배 모양으로 달린다. 땅이 해동됨과 동시에 잎이 지상부로 올라오는데, 이 시기는 초식동물들에게 먹을거리가 없는 시기여서 먹이의 주 표적이 된다. 그래서 자생지에 가면 잎이 많이 훼손된 것을 자주 본다. 근래 들어 많이 보이는 품종 중 “숙은처녀치마(2006년에 등재된 품종임)”의 경우는 바위틈에서도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처녀치마란 잎이 땅바닥에 사방으로 둥글게 퍼져 있는 모습이 옛날 처녀들이 즐겨 입던 치마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심는 방법

번식법 : 가을이나 겨울에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종자를 얻은 후 바로 화분에 뿌리는 것이 가장 좋다. 남은 종자는 냉장보관 후 이듬해 봄에 일찍 뿌린다.

관리법 : 물기가 많은 화단을 선정해서 심고, 공중습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봄야생화 > 봄야생화 항목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난  (0) 2012.07.10
금난초  (0) 2012.07.10
붓꽃  (0) 2012.07.10
올괴불나무  (0) 2012.07.10
복수초  (0) 2012.07.10

 

 

 

 

 

 

'황새목 > 백로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로의 날개짓  (0) 2012.09.11
따랑해 ~  (0) 2012.07.14
백로의 사냥  (0) 2012.07.10

 

 

 

 

 

 

'황새목 > 백로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로의 날개짓  (0) 2012.09.11
따랑해 ~  (0) 2012.07.14
백로의 포즈  (0) 2012.07.10

 

 

큰가시연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수생 여러해살이풀.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원산지 가이아나와브라질의 아마존 유역
크기 잎 지름 90~180cm

설명

잎은 물위에 떠 있고 원 모양이며 지름이 90∼180cm로 어린아이가 잎 위에 앉아 있을 정도로 크고 가장자리가 약 15cm 높이로 위를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붉은 색이며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여름철 저녁에 물위에서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 또는 엷은 붉은 색이지만 2일째 저녁 때에는 차츰 변하여 짙은 붉은 색이 된다. 꽃의 지름은 25∼40cm이고 꽃잎이 많으며 향기가 있다. 종자는 크기가 완두콩과 비슷하고 어두운 녹색이다. 꽃과 잎의 관상 가치가 매우 높은 관상 식물이다.

가이아나와 브라질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이고 1801년경 남아메리카의 볼리비아에서 처음으로 식물학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 이후에 아르헨티나와 아마존강 유역에서도 발견되었고, 1836년에 영국의 식물학자린들리빅토리아여왕을 기념하여 학명을 Victoria regia로 명명하였다.

1849년에 영국의 원예가이자 건축가인 J. 팩스턴은 온실에서 처음으로 인공적으로 꽃을 피우는 데 성공하였다. 여기서 얻은 종자가 유럽·아시아·아메리카의 각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여름야생화 > 가시연꽃 (빅토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토리아  (0) 2012.07.11
큰가시연꽃 (빅토리아연꽃)  (0) 2012.07.11
큰가시연꽃 (빅토리아연꽃)  (0) 2012.07.11
빅토리아  (0) 2012.07.11
빅토리아  (0) 2012.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