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 13



학명 : Strymon prunoides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크기 : 15~22mm  앞날개 길이 암컷 약 14mm

식초 : 조팝나무 (장미과)

월동 : 겨울에 알로 월동한다.

변이 :

암수구별 : 수컷의 앞날개 윗면 중실 끝에 성표가 없으며 뒷날개 윗면 내연각에 주홍색

               무늬가 없으므로 구별된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고 날개의 폭이 약간 넓으나,

               복부 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출현시기 : 6~7월 〈연 1회 발생〉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북동부 ·아무르 (강원도, 경기도 일부)

서식지 : 숲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참까마귀부전나비와 유사하나 크기가 작고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약간 작은 것 외에는 무늬에 의한 암수 구별은 어려우므로 배조사할 필요가 없다.
강원도와 경기도 일부 지역 산지의 능선 주변 먹이 식물이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애벌레는 먹이식물의 잎이나 꽃 모두 잘 먹는다. 알에서 깨어나면 먼저 꽃봉오리를 먹고 나중에 잎을 먹는다. 까마귀부전나비 종류 중에서 가장 작다.

생태
산지의 능선과 주변의 잡목림 숲에 서식한다. 수컷은 산 정상에서 활발한 점유 행동을 한다. 개망초, 큰까치수영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암컷은 식수 줄기의 갈라진 틈에 1~5개씩 산란한다. 알로 월동한 후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꽃봉오리를 먹다가 나중에는 잎을 먹고 자란다.

습성
저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수컷은 능선에 있는 관목림이나 소교목의 위, 산정에서 점유행동을 한다. 또 큰까치수영, 개망초와 같은 흰 꽃을 즐겨 모여 흡밀한다

변이
강원도 쌍룡 등 동 · 북부 지역산(60a~60d)은 앞날개와 뒷날개 아랫면의 흰색 선이 직선형으로, 기부 쪽으로 굴곡을 이룬 타 지역산과 구별된다. 수컷의 앞날개 윗면에 옅은 붉은색 무늬가 나타나는 개체(60e)가 있다. 쌍룡 외 지역의 개체 간에는 암수의 앞날개와 뒷날개 아랫면의 흰색 선의 굴곡 정도로 변이가 나타난다.






2018. 06. 13






2018. 06. 17


2018. 06. 17


2018. 06. 15



학명 : Favonius taxila, (Bremer, 1861)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호랑나비상과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녹색부전나비아과


크기 : 몸길이 7㎜, 편 날개의 길이 18㎜ 날개 편 길이 : 수 · 암 31~37mm

식초 : 신갈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

월동 : 알

변이 :

암수구별 : 암수구별은 다른 녹색부전나비류와 같다.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서식지 : 산지


북한명 : 참푸른숫돌나비(Cham-pu-reun-sus-dol-na-bi)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요약

한반도에서는 중북부지방의 산지 중심으로 폭넓게 분포하나, 남부지방에서는 제주도와 지리산 일대, 부산 일대 등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중순부터 8월에 걸쳐 나타난다. 1932년 Nakayama가 Zephyrus jozana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이승모(1971: 6=F. cognatus)에 의한 것이다. 국명이명으로는 김헌규와 미승우(1956: 389), 조복성(1959: 66), 김헌규(1960: 258)의 ‘아이노녹색부전나비’가 있다. 이승모(1971: 6; 1973: 5)는 Chrysozephyrus aurorinus를 ‘아이노녹색부전나비’로 적용한 바 있다.

몸길이 7mm, 날개 편 길이 18mm이다. 북한에서는 참푸른숫돌나비라고 한다. 더듬이는 곤봉형이며, 머리·가슴·배의 윗부분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앞날개와 뒷날개 모두 윗면은 흑갈색이며, 수컷은 앞날개 윗면과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초록색의 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흑갈색이다.

날개 아랫쪽은 연한 회색 바탕이며, 앞날개와 뒷날개의 가장자리 부근에 흰색의 두꺼운 세로줄 무늬가 있다. 뒷날개의 아랫부분에는 돌기가 나 있고 주위에 주황색 무늬가 있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 시기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한다. 어른벌레는 6월~8월경 단 1회 발생하며 먹이식물 근처에서 점유행동을 보인다. 주로 낮은 곳에서 활동하며 높이 비행하지 않는다. 어른벌레의 암컷은 먹이식물의 잎눈 주변에 1개씩 알을 낳는다. 주로 한국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남부지방의 경우 일부 고지대에서 발견된다.



생태
알은 기주식물의 겨울는 밑에 한 개∼수십 여개 산란되어 있는 것이 주로 낮은 위치에서 발견된다.

습성
산지의 계곡이나 임도 주변의 참나무 숲에 서식하며 개체수는 많다. 수컷은 주로 오전 9시 전후에 점유활동을 활발히 하며, 잎 위의 이슬과 습지의 물을 흡수한다. 드물게 개망초꽃에서 흡밀하기 위해 모이는 경우가 있다.


2018. 06. 15



학명 : Fixsenia prunoides (Staudinger, 1887)



과 : 부전나비과

크기 : 앞날개 길이 암컷 약 14mm

월동 :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북동부 ·아무르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앞날개의 길이는 암컷이 약 14mm이다. 꼬리 모양의 돌기는 길다. 날개의 앞면은 흑갈색이고 뒷면은 흑회색이다. 앞뒷날개 뒷면에 흰줄이 있는 안선두리가 더 한층 흑색으로 수놓여 있다. 뒷날개 뒷면의 중앙에 W자형 흰줄이 있다. 바깥선두리 바로 안쪽 등홍색 띠의 안쪽은 흑점으로 경계되어 있다.


특징

참까마귀부전나비와 유사하나 크기가 작고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약간 작은 것 외에는 무늬에 의한 암수 구별은 어려우므로 배끝을 조사할 필요가 없다.


성충 [수컷]

수컷의 앞날개 윗면 중실 끝에 성표가 없으며 뒷날개 윗면 내연각에 주홍색 무늬가 없으므로 구별된다.


생태

암컷은 기주식물의 줄기의 갈라진 틈새에 한 개씩 산란한다.


습성

저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수컷은 능선에 있는 관목림이나 소교목의 위, 산정에서 점유행동을 한다. 또 큰까치수영, 개망초와 같은 흰 꽃을 즐겨 모여 흡밀한다




2018. 06. 13



학명 : Spindasis takanonis (Matsumura, 1906)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Lycaenidae)

아과 :


크기 : 날개 편 길이 25~35㎜


식초 : 개망초, 큰까치수염, 밤나무의 꽃 꿀

월동 : 애벌레는 개미와 공생

변이 :

암수구별 : 수컷은 암컷보다 다소 작고 앞날개 외연이 직선에 가깝다.수컷은 날개 윗면의 기반부가 보라색으로 빛난다.

               암컷은 앞날개 외연이 둥그스름하다. 날개 윗면의 기반부가 흑갈색이다.


출현시기 : 6월, 7월

분포지역 : 한국 서울, 경기, 강원과 일본, 중국 서부

서식지 :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생태
나비목 부전나비과 쌍꼬리부전나비속에 속하는 곤충. 날개 편 길이는 25~35㎜이며 날개 윗면은 흑갈색이다.
뒷날개에 있는 꼬리모양돌기를 움직이면 머리에 난 더듬이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과 도시 근처의 도시림에 서식한다. 한국, 일본,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나비목 부전나비과 쌍꼬리부전나비속에 속하는 곤충.

뒷날개 아래쪽에 꼬리모양의 돌기 2쌍이 달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날개 편 길이는 25~35mm다. 날개 윗면은 흑갈색이며,
수컷의 날개는 햇빛이 비치면 보랏빛 광택을 띤다. 날개의 아랫면은 짙은 황색에 흑색 점무늬의 줄이 있다. 꼬리모양돌기가 있는 뒷날개 끝에는 주황색 바탕에 뚜렷한 검은 점무늬가 나타난다.

날개를 접고 있을 때, 뒷날개에 있는 꼬리모양돌기를 움직이면 머리에 난 더듬이처럼 보인다.

낮은 산지의 소나무 숲에서 주로 서식한다.
낮에는 서식지 주변 나뭇잎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개망초, 큰까치수염, 밤나무의 꽃에 날아와 꿀을 빤다.
산란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이다. 암컷은 소나무와 신갈나무, 노간주나무의 틈에 알을 낳는데,
유충과 공생관계인 개미가 살고 있는 나무를 찾는다.
공생 개미가 없으면 쌍꼬리부전나비의 유충은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충은 개미가 토해준 먹이를 먹고 자라고, 개미는 유충의 배에서 배출되는 달콤한 즙을 얻어먹는다.

한국의 경기도 고령산, 덕암산, 앵무봉, 서울의 반포, 관악산, 경희대,
충청북도 제천시, 옥천군, 강원도 영월군 등지에서 관찰된다.
일본에서는 혼슈 지방에 국부적으로 분포하고,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도시 주변의 도시림에 서식하는데, 도시 개발에 따른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수가 줄고 있다.
관상가치가 매우 높아 남획도 심하다.
환경부에서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징

날개 편 길이는 33mm 내외이며, 외형상 일반 부전나비 무리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는다.
 

습성

소나무가 많은 저산지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맑은 날 오전 중에는 움직임이 별로 없다가 해질무렵 수컷은 활발하게 날며 점유행동도 강하게 한다. 앉아서 쉴 때는 날개를 접으나 흡밀하거나 점유행동을 할 때에는 날개를 반쯤 펴고 앉는 일이 많다.

'부전나비과 [Lycaenidae] > 쌍꼬리부전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꼬리부전나비  (0) 2018.06.21
쌍꼬리부전나비  (0) 2018.06.19

암컷

수컷

2018. 05. 21 천수만에서



학명 : Lycaena dispar (Haworth, 1803)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크기 : 30~40mm

식초 :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마디풀과) 개망초, 미나리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월동 : 겨울에 애벌레

변이 : 5개의 아종이 있다.

암수구별 : 수컷은 날개 윗면이 주황색이나 암컷은 뒷날개 윗면이 대부분 흑갈색이며,

                  아외연부에 주황색 테가 있다.


출현시기 : 5월 ~ 10월

분포지역 : 37°선 이북 지역, 서부 유럽 지역, 중국 북부, 아무르 (경기도, 충청도의 서해안 일부)

서식지 : 수로, 밭, 논둑의 제방이나 그 주변 초지에 서식  (풀밭)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특징

수컷은 앞 뒷날개 외연을 제외한 전체가 주황색으로 되어 있어 무늬가 없으나 암컷은 앞날개 윗면에

검은 점무늬가 아외연선상에 줄지어 있다.완전탈바꿈(알-애벌레-번데기) 과정을 거쳐 어른벌레가 되는 곤충이다. 경기도와 충청도의 서해안 일부 지역 냇가나 무덤가, 논, 밭 주변의 풀밭에서 볼 수 있다.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며, 개망초와 민들레 등의 꽃에서 꿀을 먹는다. 수컷의 앞날개는 온통 붉으며, 암컷은 검은점이 예쁘게 배열되어 있다.

생태

암컷은 기주식물 잎이나 주위 마른 풀에 산란하는데 산란장소는 일정하지 않다.
부화한 애벌레는 처음에 잎맥을 남기며 핥듯이 먹으나 중령애벌레 이후는 잎맥까지 남김없이 먹어치운다

초원성으로 전답 주변이나 강가의 초지에 서식한다.
민첩하게 짧은 거리를 날아다니며 개망초, 여뀌, 민들레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잎 등에 여러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초의 잎 아랫면에 구멍을 내어 잎살을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습성

수로나 밭, 논둑의 제방이나 그 주변 초지에 서식한다.
수컷은 풀잎 위에서 오전 동안 날개를 펴고 일광욕을 하거나 점유행동을 한다.
개망초, 미나리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변이

암컷 간에는 앞날개 윗면의 아외연부에 배열된 검은색 점의 크기 차이와 주황색 부위의 흑화된 정도로 변이가 나타난다.
간혹 흑화 정도가 심하여 날개 윗면이 어둡게 보이는 개체(65g)가 있다.
 





2017. 08. 19 강원도 양구에서 촬영



학명 : Plebejus argyrognomon, (Bergsträsser, 1779)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호랑나비상과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부전나비아과


크기 : 몸 길이 8mm (수 · 암 26~32mm)

식초 : 갈퀴나물, 괭이밥, 소리쟁이

월동 : 알로 월동한다.

변이 : 암컷은 앞날개와 뒷날개 윗면의 아외연부에 나타나는 붉은색 무늬의 발달 정도로 변이가 나타난다.

         간혹 앞날개 아외연부에도 붉은색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개체(79f)가 있다.

암수구별 : 수컷은 날개 윗면 색상이 청람색이나 암컷은 흑갈색이다.


출현시기 : 5월 중순~10월 〈연 수 회 발생〉

분포지역 : 한반도(제주도 제외), 중국 동 · 북부, 우수리, 아무르, 몽고, 일본, 북아메리카의 북부 지역

서식지 : 산지, 초지


북한명 : 설악산숫돌나비(Seol-ak-san-sus-dol-na-bi)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날개 편 길이는 20mm 내외이다. 암컷과 수컷의 모양이 다른 동종이형(sexual dimorphism)이며 수컷의 경우 날개 윗면의 색깔이 청색계통이며 암컷은 흑색계통이다. 머리, 가슴, 배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더듬이는 곤봉형이다. 암컷의 경우 날개 윗면의 바깥 가장자리쪽에 주황색의 점무늬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하며 어른벌레는 5월 이후 지역에 따라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행높이가 지면에서 높지 않으며 주로 흰꽃에 많이 모이는 경향이 있다. 겨울나기는 알로 한다. 어른벌레의 암컷은 먹이식물이나 그 주변에 1개씩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날개 윗면이 청남색 바탕에 가장자리는 흑색 띠로 드리워져 있다. 암컷은 날개 윗면이 흑갈색 바탕이고 외연에 주홍색의 무늬가 발달하여 있다.

한반도에는 광역 분포를 하는 종이나, 제주도에서는 관찰기록이 없다. 년 수회 발생하며, 5월 하순부터 10월까지 양지 바른 논밭 주변, 제방 주변, 하천의 수변 주변에서 주로 관찰된다.







2017. 08. 19  양구 해안면 촬영


학명 : Maculinea euphemus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크기 : 앞날개 길이 수컷 14~25 mm, 암컷 17~27 mm
식초 : 오이풀 (장미과), 종령-개미와 공생

월동 : 

암수구별 :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고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검은색 점이 크게 나타난다.


출현시기 : 8월 초순~9월 〈연 1회 발생〉

분포지역 : 경기도(현리), 강원도(해안면,오대산), 경상도의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국외에는 유라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다. 근래에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서식지 :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멸종 위기종


특징

앞날개의 길이는 수컷이 14~25 mm, 암컷이 17~27 mm이다. 빛깔은 흑갈색이며 안쪽은 하늘색으로 빛나지만 변화가 많다. 뒷면은 회색이고 작은 흑점이 2∼3줄 늘어섰다. 연 1회, 7∼9월에 발생한다. 오이풀의 꽃이삭에 산란하며 유충은 오이풀의 꽃이삭의 속을 먹는다. 4령(四齡) 이후 빗살뿔개미에 의해 뿔개미의 집으로 옮겨져, 그 알이나 유충을 먹고 성장한다. 한국 ·사할린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라시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중북부지방의 산지 풀밭에 분포한다. 남한에서는 현재 강원도 중북부지방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 관찰되며, 개체수가 매우 적다. 특히, 근래에 관찰지나 개체수가 급격히 줄고 있어 보호가 필요하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 말부터 9월에 걸쳐 나타난다. 1887년 Fixsen이 Lycaena euphemus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석주명(1947: 6)에 의한 것이다. 국명이명으로는 조복성과 김창환(1956: 50)의 ‘점백이푸른부전나비’가 있다.


변이

강원도 동 · 북부 지역산(81a, 81b) 중에는 날개 윗면에 검은색 인분이 발달하고, 외연부의 검은색 테가 현저히 넓어 타 지역산에 비해 어둡게 보이는 개체가 간혹 있는데, 그런 개체의 날개 아랫면은 황색감이 강하게 나타난다. 개체 간에는 앞날개와 뒷날개의 윗면에 배열된 검은색 점의 수와 배열에 따라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생태

야산이나 밭, 묘소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채광이 좋을 때 주로 활동하며, 오이풀, 엉겅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꽃에 한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초의 꽃을 먹고 자란 후 종령 애벌레가 되면 코토쿠뿔개미(Myrmica Kotokui Forel)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개미와 공생한다. 개미는 나비 애벌레의 분비물을 먹고 나비 애벌레는 개미 애벌레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습성

저산지의 오이풀이 있는 곳이나 밭 주변에 서식한다. 흐린 날에는 풀이 v 위에 앉아 있는 일이 많고 맑은 날에는 활발하게 서식지 주변을 날아다닌다. 오이풀, 엉겅퀴꽃에서 흡밀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