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 13
학명 : Strymon prunoides
목 : 나비목 (Lepidoptera)
상과 :
과 : 부전나비과
아과 :
크기 : 15~22mm 앞날개 길이 암컷 약 14mm
식초 : 조팝나무 (장미과)
월동 : 겨울에 알로 월동한다.
변이 :
암수구별 : 수컷의 앞날개 윗면 중실 끝에 성표가 없으며 뒷날개 윗면 내연각에 주홍색
무늬가 없으므로 구별된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고 날개의 폭이 약간 넓으나,
복부 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출현시기 : 6~7월 〈연 1회 발생〉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북동부 ·아무르 (강원도, 경기도 일부)
서식지 : 숲
북한명 :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특징
참까마귀부전나비와 유사하나 크기가 작고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약간 작은 것 외에는 무늬에 의한 암수 구별은 어려우므로 배조사할 필요가 없다.
강원도와 경기도 일부 지역 산지의 능선 주변 먹이 식물이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애벌레는 먹이식물의 잎이나 꽃 모두 잘 먹는다. 알에서 깨어나면 먼저 꽃봉오리를 먹고 나중에 잎을 먹는다. 까마귀부전나비 종류 중에서 가장 작다.
생태
산지의 능선과 주변의 잡목림 숲에 서식한다. 수컷은 산 정상에서 활발한 점유 행동을 한다. 개망초, 큰까치수영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암컷은 식수 줄기의 갈라진 틈에 1~5개씩 산란한다. 알로 월동한 후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꽃봉오리를 먹다가 나중에는 잎을 먹고 자란다.
습성
저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수컷은 능선에 있는 관목림이나 소교목의 위, 산정에서 점유행동을 한다. 또 큰까치수영, 개망초와 같은 흰 꽃을 즐겨 모여 흡밀한다
변이
강원도 쌍룡 등 동 · 북부 지역산(60a~60d)은 앞날개와 뒷날개 아랫면의 흰색 선이 직선형으로, 기부 쪽으로 굴곡을 이룬 타 지역산과 구별된다. 수컷의 앞날개 윗면에 옅은 붉은색 무늬가 나타나는 개체(60e)가 있다. 쌍룡 외 지역의 개체 간에는 암수의 앞날개와 뒷날개 아랫면의 흰색 선의 굴곡 정도로 변이가 나타난다.
'부전나비과 [Lycaenidae] > 꼬마까마귀부전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마까마귀부전나비 (0) | 2018.06.19 |
---|---|
꼬마까마귀부전나비 [Ggo-ma-gga-ma-gwi-bu-jeon-na-bi] (0) | 2018.06.17 |